2015년에 철학과 사람이 나에게 엽서 2장을 주었다. 『아직 최선을 다하지 않았을 뿐』이란 만화에 나오는 장면이 인쇄된 엽서였다. 40살에 회사를 때려치우고 만화가에 지망하기 위해 페스트푸드점에서 알바하는 주인공이 나오는 만화다. 이 주인공은 만화 공모에 늘 미끄러지면서도 동네 아이들과 축구를 하거나 정신 차리라는 아버지의 말에 화가 나서 가출한 뒤 공원에 앉아있다가 경찰에게 훈계를 듣는 시답지 않은 인물이다. 한 엽서에는 주인공이 만화를 그리다 말고 자기가 미래에 고독사할 거라는 울적한 독백을 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고 다른 엽서에는 자신의 인생 대부분은 실패로 가득 차 있다고 말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얼마 전에 기회가 생겨서 이 만화를 다 보게 되었다. 주인공은 만화가 끝날 때까지 데뷔하지 못하고 끝이 난다. 이름 알려질 정도로 성공하기가 쉽지 않으니 아주 현실적인 이야기라 마음이 들었다. 나는 만화를 읽으면서 작가의 자전적인 이야기인 줄 알았는데 결국 주인공은 데뷔하지 못하는 것을 보고 꾸며진 이야기라는 것을 알게 돼서 마음이 허전하기도 했다. 아마도 나보다 하찮아 보이는 일본 아저씨가 결국 일본 말을 모르는 내가 그의 만화를 읽을 수 있게 되었을 정도로 성공하는 이야기가 나에게 희망적으로 다가와서 일 것이다.
자전적 이야기인 척하는 만화에 사기당해서 기분이 썩 좋지 않았지만 기억나는 말이 하나 있다. 계속 데뷔에 실패하는 주인공에게 편집자는 자기로 향하는 만화를 그리지 말라고 한다. 자기만 알아들을 수 있거나 자기에 대한 변명만 담겨있거나 혹은 자기만 알아들을 수 있는 만화는 아무도 보지 않는다는 충고다. 아마도 자기에게 흐르는 이야기를 쓰는 것은 쉽기 때문일 것이다. 내가 잘 아는 나 자신을 설득하는 것이 생판 모르는 남보다야 쉬운 일이다. 자기를 아는 것이 가장 힘든 이야기되지만 이는 객관적으로 자기 주제를 파악할 때 해당하는 말이다. 이 이야기를 보고 남이 더 이해하기 쉽게 생각하고 그 생각을 더 해독하기 편하게 말하거나 써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만화에 대한 평을 덧붙이면 내가 이런 만화에 쉽게 낚이는 어리숙한 사람이 아니라면, 이 만화의 거짓 이야기에 내가 속았으니, 적어도 남에게 이해를 구하는 측면에서는 잘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