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악산 팔각정에 올라가서 서울 여기저기 분주하게 불 켜진 사무실을 내려볼 때면 저도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마음을 먹곤 합니다. 리리카비토스 언덕에서 내려본 아테네는 여유로운 걸 넘어서 느긋합니다. 모스크바에서 가져온 과자와 올라오면서 산 콜라를 마시면서 해가 질 때까지 앉아서 아테네를 바라봤습니다.
생각지도 못한 아테네에 왔습니다. 저는 중학생 때 나중에 꼭 유학 갈 거라며 영어 공부에 필요하다고 부모님을 설득해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샀습니다. 그때는 제가 아테네에 올 줄 전혀 몰랐어요. 엠피쓰리를 살 즈음 과학 선생님은 연수차 아테네에 다녀온 이야기를 해줬습니다. 한마디로 어설픈 나라라고 했어요. 교실도 우리나라가 훨씬 시설이 좋다고 했지요. 교사당 학생 수가 적은 것만 나은 점이라 꼽았습니다. 아테네에 대해서 아주 짧게 스친 인상뿐이지만 어설프단 표현을 왜 사용했는지 살짝 이해됩니다. 느긋한 느낌을 어설프다고 말한 겁니다. 한 평이라도 더 찾아 먹고 일 원이라도 더 쥐어짜려 일상이 꽉 조여진 것 같은 긴장이 덜한 건 분명 프로답지 못한 겁니다. 버스 기사가 한 명 한 명 돈 내는 걸 확인하는 나라에 살다가 승차권도 안 보여주고 버스를 타면 좀 아마추어 같다고 느끼지 않을까요?
바람이 많이 부는데 해까지 지니 으슬으슬해졌습니다. 제가 탈 비행기는 새벽에 출발하고 공항버스도 24시간 운행하니 시간이 널널하지만 슬슬 걸어 내려왔습니다. 유난히 사이렌 소리가 많이 들렸고 골목은 러시아 못지않게 밟고 다니는 디젤 택시로 시끄러웠어요. 횡단보도는 초록 불 주는 시간이 영 애매합니다. 건너는 길이가 아주 짧은데 하염없이 켜져 있는 신호가 있는가 하면 건너려면 한참 남았는데 초록 불이 꺼지려 할 때도 있었습니다. 공항으로 가는 길의 제한 속도가 120km/h인 점이 생소했어요. 또 이 도로에서 오토바이가 같이 달리는 것도 신기한 일이지요. 제가 본 오토바이 운전자 모두 보호대를 하고 있긴 하지만 위태로워 보입니다.
이렇게 또 한 도시와 해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