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일상

기억이 자아의 전부라고 말할 수 있을까?

넷플릭스에 <블랙 미러> 시즌 4 개시되었다. 드라마의 장르를 구분하면 공상과학에 속하겠지만 나르는 자동차 같은 것은 나오지 않고 근미래에 새로운 기술 때문에 생길 일상을 다룬다.

6개의 에피소드 개의 에피소드를 순서대로 보았는데 번째와 번째 에피소드는 디지털 데이터의 의인화를 통해 이야기가 전개된다. 예를 들면 컴퓨터 안에 저장된 유전자 정보가 실제 사람처럼 나타난다거나 데이트 매칭을 위해 입력한 성향 데이터를 상대 데이터와 확인하는 과정이 실제 사람이 연애를 하는 과정으로 표현된다.

데이트 매칭을 위해 입력한 데이터가 나를 대신해서 연애를 하는 드라마 속에서나 있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이미 온라인 쇼핑몰은 내가 검색한 기록을 통해 선호에 맞는 물건을 추천해주는 시대다. 드라마에서처럼 그려보자면, 온라인 쇼핑몰 구매 기록 데이터가 나를 대신해서 나에게 맞는 상품을 고르고 있는 거다.

기억은 자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나쁜 기억이 있는 회사 물건은 사지 않고 좋은 기억이 있음 음식은 먹게 된다. 그러니까 드라마 속에서 의인화되는 데이터들을 자아의 파편으로 보는 그렇게 충격적인 생각은 아니다. (당장 생각해도 드라마 보다 한참이나 오래된 영화 <13>에도 나오는 이야기다.)

심지어 기억이 자아의 전부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의인화된 데이터들이 자아 대신 실연의 고통을 입는 보고 있자니, 정말 기억이 자아의 전부라고 주장한다면, 지금도 무수한 개인의 기록을 마치 장기나 생체 정보를 다루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기억이 자아의 전부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의학 연구에서 인체 유래물에 대해 신중하게 대하는 것처럼, 사람에 대한 기록도 누군가의 조각이나 난소나 정자와 같은 수준으로 다뤄야 한다.

그런데 기억이 자아의 전부라고 주장하는 부류 중에는 인체는 기계라고 생각하고 머리도 바꾸고 팔다리도 바꿔 있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다. 몸도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기억의 기록이라고 신성하게 여길 있을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