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살면서 기차를 탄 기억이 별로 없다. 두 번인가? 세 번? 그렇다고 기차를 싫어하는 것은 아니다. 승강장이 밖으로 노출된 역에서 전철을 탄다 치면 제일 끝쪽으로 가서 다가오는 열차 보는 것을 좋아하고 혹여 통과하는 기차가 있을 때면 묘하게 즐겁다. 수원역에서 서울에 갈 일이 있으면 전철 말고 기차 타고 갈 생각을 하기도 한다. 그러면서 기차를 잘 타지 못한 것은 철도가 아니라 도로 위주로 교통망이 찌인 나라에서 태어난 내 탓이지 뭐.
시베리아 횡단 철도 위에서 마지막 날이다. 마지막 날이어도 특별히 달라진 것은 없다. 주변 풍경은 한결같이 눈과 나무고 휴대전화 신호는 여전히 역 근처가 아니면 안 터진다. 종착역에 도착하면 기차를 161시간 11분 동안 탄 거다. 이제 어디 가서 기차 못 타봤다는 이야기는 할 수 없게 되었다. 철도 위에 있었던 시간만큼 이 철도를 가까이에서 생각할 시간도 많았다. 그런데 이 안에서 만났던 사람이나 사건들 혹은 화장실이나 온수기 같은 열차 일부는 철도에 비하면 너무나 작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는 그냥 길다. 길이만 생각하면 비교할 인공물이 없다. 시베리아 철도 위에서 내가 경험하고 생각한 많은 것들은 길다는 속성에 비하면 너무 작아서 같이 놓고 보면 보이지도 않는다.
이 긴 길이 동안 시베리아 횡단 철도는 늘 같게 있다. 간격을 늘 유지하는 두 레일이 시베리아 철도 안에 한 군대도 빠지지 않고 있다. 만약 어딘가 빠져있거나 레일이 같은 간격을 유지하지 못했으면 열차는 탈선했을 거다. 그리고 철로를 따라 열차는 덜컹거리면서 나아간다. 철도 위에서 나는 시점부터 종점까지 철도가 만드는 주기적인 진동을 몸으로 느낀다.
나는 늘 꾸준하고 싶은데 이게 쉬운 일이 아니다. 그냥 책상에 앉는 일도 하루 종일 앉아있지 못한다. 노는 것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스노보드 타는 것이 좋아도 계속 내려오기만 할 수 없다. 아무리 긴 슬로프도 끝나기 마련이고 체력도 버티지 못한다. 그나마 마음가짐은 꾸준할 수 있을 거로 생각했다. 책상에 앉던 슬로프를 내려오던 마음속으로는 늘 최선을 다하자던가 긴장한다던가 잘 살자던가 뭐 그런 생각을 할 수 있잖나.
그런데 인간이 만들어 놓은 시베리아 횡단 철도 위에서 일주일 동안 연속된 경험을 하니 내가 부단한 자세를 지니지 못한 것은 그냥 내가 나약해서란 생각이 든다. 아무리 높은 산이라도 슬로프는 끝이 나니 길게 오래 보드 타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체력에는 신경 쓰지 않았는데 갑자기 일주일 동안 내려올 수 있는 슬로프가 있다는 사실을 안 것 같다고 해야 할까?
늘 이런 정리 안 되는 이런 생각을 할 때면 내가 아프니까 청춘이라고 말하는 사람이나 사회 구조적인 문제를 개인의 책임으로 넘기는 사람 혹은 내 마음대로 안 되는 어지러운 세상은 놓아두고 그나마 어떻게 해볼 수 있는 내 마음만 들여다보며 어디 산속에 들어가는 사람이 된 것 같다. 힘들면서 행복할 수 있다는 점과 아무리 완벽한 사회라 해도 내가 뭔가 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사람이 하는 일에는 늘 어딘가 나사 하나가 빠져있기 마련이니 실패는 문제 해결에 꼭 필요한 긍정적인 일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은 것인데 이들과 구분하지 못하겠는 것도 사실이다.
Categ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