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아고라 안에서는 아크로폴리스가 보인다. 아크로폴리스만 툭 튀어나와 있으니 굳이 여기서만 보이는 건 아니다. 여하튼 고대 아고라 안에서 아크로폴리스가 보이는데 여전히 처음 아크로폴리스를 봤을 때처럼 뭔가 있어 보였다. 하늘은 정말 파랗고 땅은 정말 초록이고 평지에 툭 튀어나온 지형이 눈에 익은 지형도 아니고 등등. 아크로폴리스는 참 낯설게 다가온다.
날 좋은 날 이런 곳에 있으면 다른 사람 말 들을 여유도 생길 거고 수다는 확실히 늘 거다. 거기에 노예까지 부리면 더할 나위 없다. 시베리아와는 확실히 다른 동네다. 한겨울에 시베리아에 아크로폴리스가 있다고 해도 그거 감상할 여유가 어딨겠는가. 따듯한 곳에 가기 바쁠 거다.
시베리아 철도 위에서 아테네 생각을 한 적이 있다. 시베리아 위에서 살기 위한 노력의 무게는 문짝을 열면 그대로 느껴진다고 했다. 매서운 추위를 막기 위해 문이 무겁고 아귀가 딱 맞아서 뻑뻑하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아테네는 문이랄게 필요 없는 동네다. 1월인 지금도 거리에 탁자를 놓고 영업하는 게 보인다. 되려 해를 막을 걱정을 해야 한다.
고대 그리스에서 살았던 소크라테스는 등에에 비유되곤 한다. 별것도 아닌데 사람을 성가시게 한다는 의미다. 예컨데 방금 내가 적은 말을 보고 의미가 뭐냐고 물어보면 꽤 성가시지 않나? 의미의 의미라니? 알 것 같으면서 말하기 어렵잖아. 나는 아는 것이 하나도 없는데 안다고 생각하고 산다. 사실 안다고 생각해야 살 수 있기도 하다. 내일 해가 뜨는 걸 알아야 오늘을 살지 모르면 어디 뭐 할맛이 나겠나. 그런 나에게 소크라테스는 너가 정말로 아는 게 뭐냐고 묻고 같이 생각해보자 하는 거다.
아무리 날 좋은 곳이라도 소크라테스처럼 등애짓을 계속하는 건 상당히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남들 다 싫어하는대 혼자 잘난 맛에 계속하는 건 심신에 크게 문제가 있는 거 아닌 이상 한계가 있다. 그러니 이름 기릴만한 일이고 실제로 소크라테스는 알지도 못한 곳에 사는 내가 그를 알고 있다.
등에 짓 좋다. 생각하고 살라는 건 영화 속 건달도 하는 말이다. 생각 없이 살고 싶은 사람 어디 있겠나. 어려워서 그렇지. 그런데 시베리아같이 잘 못 생각하고 실천했다간 한큐에 가는 여지 없는 곳을 생각하면 일단 남들이 사는 방식을 받아들이는 것 조차 쉬운 게 아니다. 자연이 밀고 들어오는 걸 억지로 막아내며 겨우 사는 거다. 진보 없이 숨 붙이며 근근히 사는 게 무시할만한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환경은 아테네와 시베리아를 양극으로 놓으면 그 중간 어디에 속한다. 뭐 기후 말고 좀 다른 생각을 해보자. 경제적으로 여지없는 사람을 그려보자. 하루 벌어서 하루 먹고 사는 거다. 기반이 취약하니 부당한 대우에 노출될 가능성도 높을 거다. 그런데 부당한 대우니 당장 항의해야 한다는 말이 당키나 할까? 지금 일하지 않으면 내일 굶는데? 소송으로 그 동안의 피해를 청구하면 된다고? 우리나라 민사소송에서 바랄 수 있는건 법률구조공단에서 수임료를 가불 받는 방법 정도 뿐이다. 어울해서 소송한다고 법원에서 먹여주고 재워주나?
나는 늘 정치적으로 왼쪽에 있는 의견에 끌렸다. 나에게 피부에 와 닿는 이익이 있기 전에도 그랬다. 그냥 왠지 모르게 배운 사람 느낌이 나잖나. 그리고 좀 같이 사람답게 살자는 건 좋은 말이다. 이는 한편으로 지금까지 그렇지 못했다는 현실을 반영한 말이다. 나는 여기에 동의하고 우리가 좀 더 잘 살길 원한다. 그러니 뭔가 새로운 시도를 말하는 정치적 입장에 긍정적이다. 그런데 기존 것을 그대로 하는 게 그렇게 사악한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드는 거다.
Categ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