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서른 살 사촌의 우울(서른살 여행기)

열차에서 일주일 – 시베리아 횡단 철도 1: 마지막 날

 

036.jpg
[그림 36] 시베리아 횡단 철도 종착역 승강장

서울에 서울역이 있는 것과 다르게 모스크바에는 모스크바 역이 없습니다. 모스크바에서 역 이름은 그 철도 노선의 종착지 이름이지요. 시베리아 횡단 철도는 처음에는 블라디보스토크가 아니라 야로슬로블까지 갔기에 저는 모스크바에 있는 야로슬로블 역에서 내립니다. 그런데 야로슬로블에도 야로슬로블역이 있습니다. 제가 탄 열차는 야로슬로블역에서 마지막으로 5분간 정차하고 4시간 동안 종착역까지 쉬지 않고 갑니다.

야로슬로블 역에 도착하기 전에 화장실도 가고 내복도 껴입었습니다. 제 짐도 다 정리했지요. 이제 가만히 앉아서 모스크바까지 가면서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지금까지 봐왔던 늘 같은 풍경을 보면 됩니다. 하지만 해의 위치에 따라 풍경들도 미묘하게 변화하니 지루한 일은 아닙니다. 그리고 일주일을 살 부대낀 열차인데 휑하니 내리는 것보다는 시간을 두고 헤어지는 것도 좋은 일이지요.

미리 작별 인사를 한 위층 사람도 짐 정리를 하고 제 앞에 어색하게 앉아서 댄스 음악을 듣고 있었습니다. 그는 그냥 쿨하게 떠날 거 같았어요. 열차에서 잠시 만난 말도 안 통하는 외국인에게 의미를 두고 마음 쓸 사람처럼 보이지 않았거든요. 그래도 먹을 것도 나누었는데 주저 없이 헤어지는 건 냉랭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런데 한편으론 모든 것에 의미를 두고 소중히 여기고 기억하는 게 거의 편집증에 가까운 겁니다. 집에 있는데 까마귀가 울었다면 흉조라고 생각하고 마음 쓸 수도 있지만 사실 자연이 그런 데에는 별 이유가 없습니다. 일어난 일에 아무 의미를 두지 않는 게 무병장수하는 지름길일지도 모릅니다.

모스크바까지 86km 남았습니다. 차장은 사람들에게 차표를 돌려주기 시작했어요. 30분이 남으니 이제 제법 도시 외곽 느낌이 납니다. 조그마한 역을 지날 때마다 꼭 한두 명씩은 철로를 가로질러 승강장으로 기어올라가는 게 보였습니다. 지하철 차량기지 같은 것도 보이고 정차 중인 전철도 많이 보입니다. 분주한 사람들이 많아지는 것과 건물이 서서히 높아지는 게 보여요. 이제 거의 다 왔습니다.

제가 탄 열차는 도착해야 할 시간에 정확히 멈췄습니다. 위층 사람은 저에게 다시 한번 작별 인사를 건네고 먼저 내렸습니다. 저도 외투를 입고 가방을 메고 열차에서 내렸지요. 물론 승강장을 디뎠을 때 그는 이미 어디론가 사라졌습니다. 모스크바의 공기는 블라디보스토크보다는 덜하지만 매캐했어요. 차장이 나와서 생전 처음 보는 따듯한 미소를 지으며 사람들을 배웅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끝입니다. 열차 앞에 더 나아갈 수 있는 철로는 없습니다. 열차에서 내린 사람들은 혼자 짐을 들고 역에서 멀어지거나 마중 나온 사람들과 깊은 포옹을 합니다. 연고도 없는 땅에 절 마중할 사람은 없으니 일단 사람이 많이 가는 방향으로 걸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