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용산 일상

이번 「공각기동대」를 보고 #2

<공각기동대>의 주인공은 기계의 몸과 인간의 뇌를 지닌 혼종이다. 나는 혼종이 아닐까? 라투르는 사회 속 개인을 인간과 비인간의 복합체로 본다. 벌거벗은 나폴레옹이 유럽을 휘젓고 다니지 못했을 것이다. 무기도 있고 말도 있고 옷도 있고 그래야 유럽을 돌아다니지, 어디 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라고 해도 벌거벗고 카리스마를 풍기지는 못한다.

좀 다르게 생각하자면, 자판기 안에 사람이 들어있든 정말 기계 자판기든 내가 음료수를 뽑아 먹는 데는 별반 다를 게 없다. 음료를 주는 행위자를 생각했을 때, 완전한 인간이 주는 음료를 굳이 열망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 자판기 안에 든 사람이 준 음료수가 기계가 준 음료보다 더 맛있을 리 없다.

인간을 기계와 구분해보려는 학문적 태도 말고, 순수한 인간이길 바라는 것은 기술 시대를 사는 것과 잘 맞지 않는다. 물론 손으로 농사도 짓고, 양잠해서 실도 뽑고, 뭐 그렇게 하면서 기계와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살 수 있다.

그런데 찝찝한 것은 기계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사는 생각을 하기까지 기계의 도움이 필요하고 저런 생각을 모으고 공유하고 발전하는 데도 기계의 도움이 필요한 사회라는 점이다. 뜨거운 것도 만져봐야 뜨거운 줄 안다. 그리고 만져본 손에는 이미 흉이 졌다. 기계도 겪어봐야 하는 것이기에, 이미 기계에 반대한다는 생각까지 이르는데 기계의 도움을 받았다는 것에 찝찝해 하는 것은 되려 유아적인데, 흉 있는 내 몸이 완벽하지 못하니, 이번 생은 글렀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내가 용산에서 본 풍경은 둘 간 혼종이 아니라 많은 것들의 혼종이다. 단순히는 건물 외관에서 돈이 많이 들여 꼼꼼히 마감한 전면과 그렇지 못한 보이지 않는 면이 섞여 있기는 것을 볼 수 있기도 하고, 복잡하게는 필요에 따라 이것저것 이어 붙인 모습을 볼 수 있기도 하다. 지금 이런 모습이 현실이니,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생각과 깨끗하게 정리를 해야 한다는 생각 중에 어느 것이 덜 유아적인 것일까? 그대로 받아들이자는 것은 몸에 흉이 있으니 이번 생은 글렀다고 생각하는 것과 비슷한 태도 아닐까? 깨끗하게 정리하자는 것은 흉을 아예 인정하지 않는 태도 아닐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