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양 끝인 모스크바와 블라디보스토크의 시차는 7시간입니다. 시베리아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7일이 걸리니 열차 위에서 하루에 한 번씩 시간이 바뀌는 걸 체험할 수 있지요. 일주일 동안 매일 시계가 느려지는 건 황당한 경험입니다. 하루에 한 번만 들어도 짜증 나는 아침 알람이 두 번 울릴 수도 있고 밥을 먹었는데 또 밥때가 오기도 합니다. 그러니 밥 먹고 잠잘 때 시계가 아니라 제 몸 상태를 살펴야 합니다. 처음에는 시간이 조금씩 빨라지면 모스크바와 서울의 시차에 편하게 적을 할 수 있을 거 같았는데 시간이 바뀌는 건 1시간이나 9시간이나 똑같이 피곤한 일이더군요.
어렸을 때 『80일간의 세계 일주』라는 소설을 각색한 만화를 읽었습니다. 주인공이 친구들과 80일 동안 세계 일주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내기하는 이야기입니다. 주인공은 80일 만에 지구 한 바퀴를 도는 일이 가능하다고 하고 출발했지만 아쉽게 81일째에 도착합니다. 주인공은 하루 차이로 내기에 져서 망연자실했는데 사실 시차 덕분에 하루를 번 사실을 알고 황급히 도착 지점으로 가서 내기의 승자가 됩니다. 이 만화를 볼 때 저는 여기 나오는 시차가 그렇게 궁금했다. 그렇다고 저 소설의 주인공처럼 지구를 한 바퀴 돌면서 시차를 체험하겠다는 포부는 갖진 못했지요.
사실 시차가 궁금했던 건 휴일을 더 오래 겪고 싶은 놀부 심보 때문입니다. 해가 더 빨리 뜨는 서울에서 12시면 베이징은 11시니 휴일이 끝나기 전에 베이징으로 가는 겁니다. 그리고 베이징의 휴일이 끝나기 전에 또 서쪽으로 가는 거지요. 이때는 날짜 경계선을 몰라서 이렇게 서쪽으로 계속 가면 영영 휴일이 끝나지 않을 줄 알았습니다.
달콤한 건 또 먹고 싶고, 재미있는 거나 흥미로운 건 또 보고 싶습니다. 시차는 어렸을 적 저에게 늘 쉬고 싶은 동화적 상상을 현실화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를 준 아주 흥미로운 대상이지요. 그런데 이번에 전 이 흥미로운 시차를 정말로 물리도록 경험했습니다. 어렸을 때는 초콜릿을 하나씩밖에 먹지 못했는데 어른이 돼서 이 썩는다고 뭐라고 할 사람이 없으니 에비씨 초콜릿 한 봉지를 물리도록 먹는 경험과 비슷합니다.
에비씨 초콜릿 한 봉지와 시차를 한 번 경험하는 걸 비교하면 규모의 차이가 너무 납니다. 둘을 같이 놓고 비교하기에는 시차를 물리도록 경험하는 일이 너무 규모가 크지요. 그러니까 시차를 이렇게 물리도록 경험한 건 초콜릿을 맘껏 먹는 경험처럼 그냥 나이만 먹어서 된 일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제가 혼자서 엄청난 노력을 해서 이렇게 된 것도 아닙니다. 제가 신나는 경험을 물리게 할 수 있는 데에는 부모를 포함해서 참 많은 조력자 덕분이지요. 정말 고마운 일입니다.
한편으로 아무리 도움을 주고 등 떠밀어도 하기 싫은 걸 억지로 하게 만들 순 없습니다. 그러니 이 여행이 시작된 원인에서 제 지분을 아주 조금은 찾아볼 수 있어요. 스스로 적당히 숨 붙이고 살았다고 평가한 제 과거도 그렇게 허접한 것만으로 채워져 있는 게 아닐지도 모릅니다. 썩 좋아 보이지 않던 제 과거를 조금 밝게 평가해보니 제가 허접하다고 생각한 많은 게 그렇게 무시할 만한 게 아니라는 생각도 듭니다. 제가 허접하게 생각했던 것에는 서울의 후줄근한 뒷골목 풍경이나 자기 인생을 살기 위한 노력은 하지 않으면서 남에게 꼰대질이나 하는 아재 같은 부류가 포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