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과거 일상

철학과에서 배운 것

요약: 나는 철학과에서 읽고 쓰는 법을 배웠다.

Summary: I learned how to read and write in philosophy classes.

철학과에서 배우냐는 질문은 많이도 들어봤다. 물리학과에서 물리는 배우는 것과 다르게 철학과에선 철을 배우지 않는다는 확실히 말할 있다. 그런데 아닌 것을 말하는 방식으로는 무언가 확정하기 어렵다. 토끼가 뭐냐는 질문에 사자도 아니고 개도 아니다는 말은 참이지만 전혀 쓸모없는 답변이다.

사실 토끼가 아닌 모든 말하면 토끼가 확정된다. 엄지손가락을 설명할 제일 뚱뚱한 손가락이라고 말하지 않고, 소지도 아니고 검지도 아니고 중지도 아니고 약지도 아닌 손가락이라고 말할 있다. 그런데 토끼를 설명할 문제는 우리가 토끼가 아닌 것을 전부 알지 못한다는 점이다.

생각에 철학자는 우리가 전부 알지 못하는 세계를 탐구한다. 탐구 방법은 다양하다. 세계를 그대로 바라볼 있다고 믿고 정말 그대로 바라보고 서술하는 방법부터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가 세계와 관련 있다고 믿고 언어를 분석하거나 세계 따윈 없다고 믿고 진상을 밝히려는 과격분자들도 있다.

철학과에서는 지나간 철학자들이 글을 보며 저들은 어떻게 생각했는지 생각을 누군가는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따위를 이해하고, 생각을 적어보고, 다른 이들과 이야기한다. 앞서 말한 일은 모두 굳이 철학과에서 필요가 없는 일이긴 하다. 그래서 나는 철학과를 나왔지만 철학과가 필요한 이유를 대지는 못 하겠다.

하여튼 내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돌아보니, 읽고 쓰는 방법은 조금 배웠다고 본다. 다양한 생각이 있다는 것을 어렴풋이 알아서 남의 말에 귀가 순해졌고, 쉽게 이해할 수 없었던 여러 생각을 접한 경험을 해서 생각을 말할 남을 완전히 이해시키기 어렵다는 생각을 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