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서른 살 사촌의 우울(서른살 여행기)

모스크바 시간으로 블라디보스톡을 떠난 지 3일이 지났다. 몽골 국경과 가까워서인지 모르겠지만 입만 다물고 있으면 나와 비슷해서 생김새의 사람들이 자주 보였다. 중국에서도 입다 물고 있으면 중국 사람이 말을 걸기도 했지만 동양의 범주에 넣어보지 않은 러시아에서 이런 경험을 하니 정말 이상했다. 생김새가 같다고 한국어를 하고 한국인일 거라는 부당한 기대를 가졌기 때문이다. 국적과 언어와 유전적 유사성은 전혀 다른 […]

Categories
서른 살 사촌의 우울(서른살 여행기)

관계

위 칸에 사람이 내리니 너무 편했다. 여태까지만 해도 나는 예의 나라에서 온 사람이니 때에 맞춰 아침에 일어나면 이불을 개고 테이블을 만들어 꼿꼿이 앉아있고 저녁이 되면 다시 잠자리를 만들었다. 그런데 하루 종일 좁은 공간에 앉아있는 것은 너무 힘들다. 좀 더 시간이 지나니 누워서 세끼를 다 챙겨 먹었다. 침대 방향이 열차 진행 방향과 같으니 편안하게 누워서 바깥풍경을 […]

Categories
서른 살 사촌의 우울(서른살 여행기)

유지와 개선에 대해

<<방법서설>> 3부에서 데카르트는 자신이 모든 것을 의심하고 있지만 일상에서 따라야 할 것은 상식에 어긋나지 않는 온건한 의견이라고 말한다. 나는 이 부분을 읽고 데카르트가 유약하다고 생각했다. 좀 부끄러운 이야기인데 <<방법서설>>을 읽기 전에 초등학생을 독자로 삼은 <<만화 데카르트 방법서설>>을 읽었다. 여기서 데카르트가 병약하게 그려진 기억이 남아서이기도 하다. 나는 난방 잘 되는 열차 안에서 시베리아를 바라봤다. 기껏해야 역에서 […]

Categories
서른 살 사촌의 우울(서른살 여행기)

시베리아 횡단 철도 위에서 먹었던 것들

시베리아 횡단 철도에 올라 삼 일째가 되니 나와 비슷한 생김새의 사람들이 탔다. 열차의 출발지인 블라디보스톡은 바로 북한 위인데 그동안 온통 백인만 보인 것은 좀 이상하다. 그런데 이 온통 백인인 열차 안에서 우리나라 컵라면인 “도시락”이 흥하고 있는 것은 더 이상한 일이다. “도시락”은 우리나라에는 한 가지 맛밖에 없지만 여기서는 내가 본 것만 여섯 가지 맛이 있다. 나는 […]

Categories
서른 살 사촌의 우울(서른살 여행기)

시베리아 횡단 철도 안의 사람들

열차에서 내릴 때까지 눈에 익지 않던 장면이 하나 있다. 1층 침대에 사람이 누워서 자고 있는데 2층에 자리 잡은 사람이 툭 내려와서 탁자를 이용하는 모습은 정말 볼 때마다 볼 때마다 식겁 놀라곤 했다. 열차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놓인 2층 침대는 창가 쪽에 탁자 하나가 있다. 머리를 복도로 하고 자지 않으니 탁자 쪽에 머리가 놓일 수밖에 […]

Categories
서른 살 사촌의 우울(서른살 여행기)

시베리와 횡단 철도와 「닥터 지바고」

난 시베리아 횡단 철도가 지닌 문화적인 부분을 잘 알지 못한다. 기껏해야 영화 <닥터 지바고>를 본 정도? <닥터 지바고>에서 시베리아 횡단 철도가 뭐 그렇게 중요한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이건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거리감을 모르고 한 소리다.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는 멀다고 하는데 체험할 수 없으니 감이 잘 안 온다. 내가 도시에 살 때는 버스 몇 정류장 혹은 […]

Categories
서른 살 사촌의 우울(서른살 여행기)

시베리아 황단 열차 내부 #2

삼등석은 침대 여섯 개를 한 조로해서 주욱 붙어있다. 두 개의 이 층 침대는 열차 진행 방향에 직각으로 서로 평행하게 놓여있고 그 가운데에는 창문과 작은 탁자가 있다. 서로 평행한 일 층 침대 두 개는 상부가 들리고 아래 칸에 짐을 넣을 수 있다. 이 층 침대 위는 이불이 놓인 선반이 있다. 나머지 하나의 이층 침대는 평행한 두 […]

Categories
서른 살 사촌의 우울(서른살 여행기)

시베리아 횡단 열차 내부 #1

내가 탄 모스크바행 열차는 99번 열차다. 모스크바에서 블라디보스톡행이 되면 100번이 되는 식이다. 러시아의 철도 시스템에서는 번호가 작을수록 좋은 열차라고 한다. 한 자리 대 열차도 있었는데 걸리는 시간도 빠르고 시설도 좋다. 나는 너무 급하게 출발하느라 표를 구하지 못했다. 99번 열차 삼등석 칸에는 두 명의 차장이 교대로 근무한다. 상냥하지는 않지만 꼭 필요할 때 무심하지는 않다. 차장은 내려야 […]

Categories
서른 살 사촌의 우울(서른살 여행기)

시베리아 횡단 철도에 오름

모스크바행 열차를 예매할 때 두 가지 선택이 있었다. 역에서 체크인하고 열차표를 받는 방법과 열차표를 인쇄해서 제시하는 방법이다. 나는 열차표를 인쇄해갔는데 내가 탈 칸 차장이 날 들여보내 주지 않고 러시아어로 주저리주저리 말한다. 러시아어를 못한다고 하니 러시아어로 더 뭐라고 하는데 대충 눈치로 너는 외국이니까 내가 해준다는 말 같다. 내가 자리를 잡으니 다른 직원이 와서 내 열차표를 가지고 […]

Categories
서른 살 사촌의 우울(서른살 여행기)

블라디보스톡

우리 동네는 전철이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았다. 사실 시골이니까 우리 동네라고 하는 거다. 차로 20분 걸리는 장소를 서울에서는 우리 동네라고 하진 않는다. 여튼 일제 때 수원에서 여주까지 이어지는 협궤가 있었지만 영동고속도로가 개통되고 얼마 있지 않아 없어졌다. 그리고 작년부터 표준궤 전철이 다니기 시작했다. 지난 토요일, 인천으로 간다는 사람에게 길을 알려주는 한 무리의 중년들이 있었다. 결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