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영문 요약: https://daseoh.wordpress.com/2007/08/20/집에-가고-싶어/ 윗글을 쓸 때 즈음 나는 입버릇처럼 “집에 가고 싶어”라고 말하고 다녔다. 학교에 갈 때도, 친구를 만날 때도 늘 그랬는데 짜증 내는 사람이 한 명 뿐이던 걸 보면 내가 만난 사람이 적었다는 것을 감안해도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의 인성은 꽤 좋은 축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나는 “집”을 정말 내 가정이 아니라 […]
[태그:] 부끄러움
아테네#3
그리스의 거리에서 스페인 냄새가 나긴 했지만 러시아와 유사한 점도 있다. 벽돌이나 돌을 붙인 게 아니라 칠로 마감한 외벽이 그거다. 거기다 옥색이 보이지는 않지만 미색은 러시아에서 자주 보던 색이다. 내가 배운 서양은 뭔가 그리스나 로마에 뿌리를 대려고 한다. 그리스의 <<일리아드>>나 <<오뒷세이아>>를 필독서에 올리기도 하고 로마의 양식을 따라 도시를 설계한 세력도 있다. 로마의 선조 이야기 격인 <<아이네이스>>가 […]
프레스코화
무기고를 나와 크렘린 안에 있는 성당을 둘러보았다. 하늘에 계신 아버지에 닿고 싶어서인지 대게 성당들은 높잖나? 그래서 성당을 볼 때면 높게 지은 것과 관련된 구조에 눈이 갔다. 기둥이나 보의 형태나 천장 혹은 아치 같은 것들 말이다. 구조는 처음 만들 때 그대로다. 만약 비틀어지거나 어디 하나가 빠지면 성당은 위험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좀 중요한 부분이 빠지면 성당이 […]
마지막 날
난 살면서 기차를 탄 기억이 별로 없다. 두 번인가? 세 번? 그렇다고 기차를 싫어하는 것은 아니다. 승강장이 밖으로 노출된 역에서 전철을 탄다 치면 제일 끝쪽으로 가서 다가오는 열차 보는 것을 좋아하고 혹여 통과하는 기차가 있을 때면 묘하게 즐겁다. 수원역에서 서울에 갈 일이 있으면 전철 말고 기차 타고 갈 생각을 하기도 한다. 그러면서 기차를 잘 타지 […]
가방
예비군 훈련에 가면 일상에서 보기 어려운 사람들이 참 많다. 나보다 어린데 결혼한 사람이 한둘은 꼭 있는 것도 좀 어색한 일이지만 신기하게 어디서 정말 말 안 듣는 사람들만 골라 온 것 같다. 어칠어칠하며 동네에서 껌 좀 씹는 형님의 느낌을 풍기는 사람도 참 많다. 서바이벌 게임을 한다치면 더워죽겠는데 거추장스럽게 보호장구도 차고 하니 정말 모두가 약속이나 한 것처럼 […]
사과소년
이제 모스크바 시간대에 들어왔다. 얼어 있는 강이 낯설지 않았다. 낮에 잠을 안 자니 시간이 참 안 갔다. 나중에 이 지루한 시간이 생각날 것은 분명했다. 그리고 그 아쉬움 조차 까먹어서 또 소중한 시간을 낭비할 거다. 졸업한 지 얼마나 되었다고 철학과에 다닌 시간들이 흐릿하다. 철학과에 오기까지는 참 많은 고민을 했는데, 왜 오게 되었는지도 잘 기억나지도 않는다. 그때 […]
D-0
이제 모스크바까지 24시간도 남지 않았다.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있어 중간중간 눈치를 보며 조용히 내 욕구를 해소해야 하는 상황이 조금 귀찮기는 했지만 다시 못 할 짓은 아니다. 이제 <<론리 플레닛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표지에서 본 풍경이 창밖에 나타난다. 모스크바에 가까워서인지 철도와 관련된 디자인이 회색 바탕에 빨간색 표시로 통일되는 것이 보였다. 아무 짓도 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
오류 발견
나는 어제 시베리아 횡단 철도에 올라 4일째에 견과류 캔을 버리지 않고 머리를 감았고 배터터리를 더 이상 충전하지 않기로 마음먹었다고 적었다. 그런데 일기를 더 살펴보니 터리를 충전하지 않기로 마음먹은 것은 5일째이고 머리를 감은 것은 6일 째다. 날짜를 모호하게 써놓은 것도 아니고 4일 째라고 명확히 써놓고 5일과 6일째에 있던 일을 적는 것은 해서는 안 될 짓이다. 여기서 […]
익숙함과 속단
시베리아 횡단 철도에 오른 지 4일 째다. 창밖은 나무 종류가 조금씩 변하기는 했지만 늘 같은 풍경이 지나간다. 보이는 건물들도 소련의 영향인지 모두 비슷비슷하다. 밖과 다르게 열차 안은 따듯하다. 옆자리에서는 한 할배가 허리 아픈 할매를 눞혀놓고 고쳐보겠다고 뭔가 열심히 하고 있다. 먹을 것을 가득 싼 봉지도 가벼워졌고 알파벳을 잘못 읽고 산 탄산수는 이제 어느 정도 맹물이 […]
사진의 그림은 오래가지 못한다. 그래서 싫었다. 그런데 이런 그림은 많이 보인다. 젊은 사람들이 비싼 임대료를 피해 모여 잘자분한 것을 파는 거리에서도 보이고, 우중충한 분위기를 좀 밝게 만들어 보자고 노력한 동네에서도 보이고, 관광지에서도 보인다. 이런 그림은 처음 칠한 얼마 동안은 좋으나 점점 시간이 갈수록 때가 타고 갈라지기도 하고 뜯겨 나가기도 한다. 이렇게 분칠을 하는 것이 아니라 […]